대학교 수강신청이나 콘서트 티켓팅 등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계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네이비즘과 네이버시계인데요.
무엇이 몇초 빠르고 무엇이 몇초 느린지 항상 논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정확한 시간을 확인하려면 각 시계별 특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겠죠.
먼저 네이버 시계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여러 유틸리티중 하나로 네이버의 서버시간을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시계에 대한 설명으로 서버시간이라는 표현을 쓰긴 했지만 전적으로 네이버 서버 기준의 표준시간이기 때문에 네이비즘이 말하는 서버시간과는 다른 의미입니다.
네이버시계 외에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UTCK라는 프로그램을 쓰는 분도 종종 계신데요.
그 역시 하나의 기준에 맞춰진 표준시간을 알려줄뿐 여러분이 생각했던 서버시간은 아닙니다.
116도 마찬가지니까 표준시간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만 드릴게요.
표준시간으로 수강신청을 한다면 그냥 편하게 휴대폰 시계나 손목시계를 보셔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제는 우주의 정확한 표준시간이 아니라 표준시간과 수강신청 혹은 콘서트 티켓팅의 서버시간이 정확히 일치하느냐입니다.
만약 운이 좋아 정확하게 일치했다면 표준시간만 보더라도 올클과 성공을 할수 있겠지만, 생각만큼 각 서버들의 서버시간이 표준시간과 일치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각 서버의 서버시간이 중요한 것입니다.
댓글 4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네이비즘과 네이버시계의 차이점 자세히 알아보기 [4] | navyism | 2019.08.14 | 24230 |
공지 | 네이비즘 서버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확인하는 방법 [2] | navyism | 2018.11.23 | 25105 |
공지 | 네이비즘 크롬 앱 설치 및 사용 방법 안내 | navyism | 2018.09.27 | 4403 |
공지 | 네이버에서 네이비즘을 검색해보세요. | navyism | 2018.08.17 | 18946 |
공지 | 네이비즘 서버시간을 사칭하는 유사 사이트들을 조심하세요! | navyism | 2018.04.26 | 18286 |
공지 | 도메인 주소를 잘 모를때에는 이름으로 서버시간을 검색해보세요~ | navyism | 2018.04.23 | 2053 |
1 | 쇼케이스가고싶어요 | 쇼 | 2019.01.18 | 54 |
ㅇㅋㅇㅋ